늙은 부모를 산 채로 내다 버린다는 고려시대의 풍습인 ‘고려장’.

우리는 이 이야기가 엣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라고 믿어 왔는데요, 이것이 우리나라 이야기가 아닌 중국 이야기라는 것을 밝혀 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더구나 일본이 고려장을 우리나라 고려시대 이야기로 둔갑시켜, 이를 이용하여 문화재를 훔쳐가기 위한 명분으로 활용했다는 사실이 MBC 서프라이즈를 통해 방송되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고려장이라는 풍습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대부분 아시는지?

우리는 여지 껏 고려장이 우리의 풍습이라고 믿어 왔습니다.



고려장은 고려의 장례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당시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이 강해 장례 풍습으로 매장과 화장이 기본 풍습으로 유행했던 시절입니다.



신분이 높은 왕족은 생활도구와 보물을 함께 묻는 순장이 유행했다고 합니다.

송나라의 사신 서긍이 고려를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인 고려도경에는 일부 하위계층에서 미처 장례를 치르지 못한 시체를 산에 그대로 방치하는 풍장을 치뤘다고 합니다.

이상한 것은 부모님을 산채로 버렸다는 기록은 찾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를 고려장으로 착각했을까요? 아니지요...

고려장이라는 말은 언제 처음 나온 것인지에 대해 MBC 서프라이즈는 고려장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책을 찾아 냅니다. 이는 ‘은둔의 나라 한국’이라는 책에 처음 등장하였고, 일본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윌리엄 그리피스라는 사람이 쓴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윌리엄 그리피스는 한국에 가본적이 한번도 없는 사람이라는 것.

일본에 머물면서 선교사 활동을 한 그리피스가 조선에 대해 들은 소식통이라고는 일본인들에게 들은 것이 전부라고 하는데요.

우리는 심지어 이 고려장 이야기를 통해 부모에게 효도를 해야 한다는 교훈까지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후 일본인들이 쓴 여러 책들에서 고려장 이야기가 마구 등장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인데요.

이중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 동화집’과 일본인 미와 타마키가 저술한 ‘전설의 조선’에서도 이러한 내용이 또 발견됩니다.

그런데 우리의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던 고려장이라는 단어가 어디서 유래가 된 것인지… 이 이야기는 누가 만들어 낸 것인지 매우 궁금하여 더 자세히 조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중국 ‘효자전’에 실린 원곡 이야기와 내용이 비슷하다는 사실이 발견됩니다.

원곡이야기에서 썼던 수레가 고려장에서 지게로 바뀐 것만 빼고 모든 내용이 동일합니다.

즉, 고려장은 중국의 전설을 우리나라 것인 양 둔갑시킨 일본에 의해 각인된 것임이 밝혀집니다.

그런데 일본은 왜 이런 이야기를 만들어 냈을까요?

고려장이 등장한 시기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합니다.

즉, 우리 민족의 자부심을 떨어뜨리고 열등감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조선에 ‘고려장’이라는 악습이 있었다고 퍼트린 것입니다.

도대체 왜? 왜 이러한 이야기를 퍼트렸을지 MBC 서프라이즈는 더 자세히 파해칩니다.

이는 일본이 우리나라의 무덤을 도굴하기 위한 일본의 꼼수인 것입니다.

당시 일본은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강탈하기 위해 어떤 행위도 서슴치 않았습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에 죽을 때 그 사람이 사용하던 물건을 같이 묻는 순장풍습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그래서 무덤을 파서 도굴을 할 생각을 해 온 것 같습니다.

그러나 유교주의가 국가 전체에 퍼져있는 조선시대에 무덤을 판다는 것은 큰 죄악처럼 여겨졌던 시대에, 도굴은 해서는 안될 일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일본은 역사를 날조하여 도굴을 할 명분을 만들었는데… 그 날조의 도구로 사용했던 것이 바로 고려장이었던 것입니다.

 

일제시대에 언론이 탄압받던 시절… 대한매일신보는 일본의 만행을 보도하게 됩니다.

 

장수왕은 고구려 20대 왕이며 향년 98세(394년~491년)까지 생존하였습니다.

본명은 거련(巨連) 또는 연(璉)이라고 하였고 중국의 진(晉)나라·송(宋)나라·위(魏)나라 등과 국교정상화를 이루었으며 북아시아 여러 세력들과도 다각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서방(西方)의 안정을 꾀하였다. 이러한 외교관계를 기반으로 왕권강화 및 중앙집권체제를 이룩하였습니다.

연대별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408년 태자로 책봉

414년 자신의 아버지인 담덕(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움

427년 만주 지방의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여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함

475년 스스로 군사를 이끌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을 죽여 옛날 고국원왕의 원한을 갚음.

480년 말갈의 군사와 함께 신라 북부를 공략하여 고명성 등 7성을 함락시켜
         남으로는 아산만에서 동쪽의 죽령에 이르렀고,
         북서쪽으로는 랴오허강 이동의 만주지방 대부분을 차지하여, 한국 역사상 최대의 제국을 건설함

광개토대왕 장수왕 2대에 걸친 정복사업으로 영토는 점점 확장되어 남쪽은 아산만에서 죽령에 이르고, 서북쪽은 요하에서 만주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큰 나라를 건설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재위 79년, 나이 98세로 고구려에서 가장 장수한 왕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장수왕의 업적 요약
1.도읍지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김
2.남하정책으로 한강유역까지 영토를 넓힘

+ Recent posts